부천시 산업정책
배경
- 글로벌 경제 환경의 변화에 적극 대처하고 일자리 창출, 지역경제 활성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타 지역보다 우위의 산업을 집중 육성중임
- 금형, 조명, 로봇, 패키징, 세라믹산업을 우리 시 5대 특화산업으로 집중 육성하고 지역 산업 기반인 제조업의 고부가가치화를 통해 미래 100년 부천 경제를 선도하는 성장엔진으로 발전시키고 있음
전략방향


지원기관 :한국금형센터(한국생산기술연구원, 한국기계산업진흥회)
금형산업이란?
- 제품을 대량으로 생산하기 위한 틀로 정밀 제품을 대량 생산할 수 있는 고부가가치 산업
사업분야

01
차세대 금형기술 연구개발 및 기술 이전
02
금형관련 첨단장비를 활용한 근접기술 지원
03
금형산업 중소기업 인력양성 및 현장 기술인력 재교육
04
생산현장의 애로기술 상담 및 지도
05
금형산업 기술경쟁력 강화를 위한 기반 구축 및 운영
06
금형산업 활성화를 위한 금형기술교류회 및 컨퍼런스 개최
07
최신 금형기술 조사 및 동향 분석
08
금형산업 스마트공장 기술개발 및 실증 사업
09
지속성장을 위한 정책개발
주요업무
1.주요기업지원사업
-
실용화기술 근접지원사업
- 기업 애로기술 지원을 위한 첨단장비 공동활용개발 및 근접지원
- 금형 설계, 엔지니어링, 가공, 성형, 측정 및 시험 지원
-
차세대 금형기술 연구개발 지원
- 친환경, 고성능 고부가가치 소재/부품, 가공 기술개발 및 제조기술 개발 지원
- 고정밀 사출/프레스 금형성형기술 및 마이크로 금형/성형기술 개발 지원
- 기능성 핵심 부품의 설계 및 생산기술 개발 지원
-
금형산업 기술경쟁력 강화를 위한
기반 구축 및 운영- 가상화기술 활용 엔지니어링설계 협업시스템 운영
- 플라스틱 유변물성 평가 및 분석 시스템 운영
-
금형산업 활성화를 위한
금형기술교류회 및 컨퍼런스 개최- 금형산업 관련 산학연관 협의체 구성 및 운영
- 글로벌 최신 금형기술 정보제공을 위한 국제금형 컨퍼런스 개최
- 금형기술교류회 개최
- 금형기업 애로사항 청취 및 상담을 위한 SST 개최
-
금형산업 발전을 위한 정책개발 및 기술기획
- 국내외 관련 자료 수집 및 분석
- 국내 금형 기술 지원방안 수립
2. 기업 애로사항 해결을 위한 수요대응형 과제지원
파트너기업을 대상으로 자유응모 방식 지원
- 애로기술접수 : 애로기술해소 수요기업
- 진단 및 매칭 : 과제화 여부, 기술분야등 진단 후 연구책임자 매칭
- 사업계획 작성 및 제출 : 매칭 연구책임자의 현장방문으로 상세진단 후 사업계획 작성 제출
- 선정 및 협약 : 선정통보 후 20일 이내 참여기업 부담금 납부 협약
- 과제수행 및 결과보고 : 과제종료 후 1개월 이내 종료보고 및 종료평가
3. 교육
- 3D 금형/제품 모델링 초급/중급 교육(NX UG)
- 3D 금형/제품 모델링 초급/중급 교육(Solid Edge)
- 금형 코어가공 CAM 기초(NX CAM)
- 플라스틱 금형 사출성형 해석 기초(MAPS-3D)
- 프레스 금형(주조/단조) 성형 해석 기초(DEFORM)
지원기관 :키엘연구원
조명산업이란?
- 신광원의 개발 및 활용, 조명의 첨단기능 강화, 에너지 효율의 극대화 등 융복합 기술을 통한 미래조명을 연구 · 개발하는 산업
사업분야

01
조명기기 관련기술의 연구개발
02
조명기기 등의 신뢰성 향상 및 디자인 연구개발
03
조명 제품의 규격,성능 시험, 품질평가 및 인증사업
04
태양전지(이차전지 포함) 및 이를 이용한 장치에 대한 시험 및 인증 업무
05
표준에 관한 연구,개발,관리 등을 위한 사업원
06
기술교육을 통한 전문인력 양성
07
기술동향 조사, 분석 및 제공
08
연구시험시설 및 설비의 공동활용 또는 소비자 보호에 관한 사업
09
조명기기 관련 기술의 국제 협력사업
주요업무
1. 국내외시험
국내
- KOLAS 국제공인시험기관, KS인증제품시험기관(KS인증시험)
- 고효율에너지기자재 공인시험기관 (고효율에너지기자재인증시험)
- 환경마크인증 공인시험기관(환경표시인증시험)
- 조달청 전문검사기관(조달전문검사 이화학시험)
- 효율관리기자재 인증 시험, 한국방송통신기술협회 방송용 LED 조명기기 인증시험
- 한국도로공사 표준시험, 항공 분야/신재생에너지 분야 시험
- 신뢰성 시험, KAS, TL 인증시험, 성능/안전 인증시험
- 품질관리용 제품시험 및 단체표준시험, 연구개발 의뢰시험
해외
- Energy Star Program 공인시험기관, LED Lighting Facts 공인시험기관
- 북미 UL/ETL 공인시험기관, Design Lights Consortium(DLC) 공인시험기관
- California Energy Commission(CEC) 공인시험기관, IECEE CB 인증시험기관(CBTL)
2. 표준
IEC TC 34 국내 간사기관
- IEC TC 34/SC A, B, C, D (램프, 캡홀더, 안정기, 등기구)간사기관
- 국제표준 문건 대응 및 국제표준화 활동
- 국가기술표준원 조명전문위원회 활동지원
국가 표준개발협력기관
- 국가기술표준원으로부터 조명분야 CSOD 기관 지정
- 국가표준(KS) 제 · 개정
- CCFL/EEFL/LED/OLED/CNT 등 新광원 조명분야 표준화 추진
3. 교육
- 조명산업체 요구에 맞는 전문화된 교육 프로그램 운영
- 기술단계 및 직업능력 개발 훈련기준 특성을 맞춘 체계적 교육
- 실무 중심의 맞춤형 조명전문가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 개설
교육내용
- 조명실무 입문자과정
- Relux 기초활용과정
- 조명설계 실무과정
- DIALux활용 조명설계과정
- 조명설계 제안서 작성과정
- LED광학설계 기초과정
- LED광학설계 실무과정
- Solidworks 기초과정
- LED방열설계과정
- LED제품 개발 실무과정
- LED 인증 실무자 과정
- LED 조명 신뢰성 평가 과정
- LED 응용 기술 개발과정
- LED 전원 설계 기술과정
- LED 응용 기술의 이해
4. 기업의 성장을 돕는 맞춤형 지원
-
대 · 중견 · 중소기업 기술역량 지원기반 구축
- 기업의 기술성, 전문성 분석을 통한 기업 현황 구축
-
기업의 성장을 돕는 맞춤형 지원
- 국내외 시험에서 인증까지 One-Stop 기업지원
- 기업의 애로사항 해결을 위한 멘토 프로그램 및 맞춤형 컨설팅
- 기업 담당자 대상 인증 및 품질관리 교육 실시
- 기업의 신제품 및 주력제품 홍보 지원
-
연구원 회원 제도를 통한 업체 지원
- 기업의 공통 애로기술 발굴 및 해결
- 회원사 애로기술에 대한 자문 및 출장지도
- 회원사의 상호 유기적인 연계로 협동 연구의 활성화
- 기술정보 자료 제공 및 기술 교육
- 회원 시험 인증 지원 : 시험 수수료 할인
- 장비사용허가서 발급
-
융합조명육성기술지원사업
- 기업의 제품 경쟁력 확보를 위한 시제품 제작 및 인증 지원
- 조명디자인 및 광학설계기술 지원, 조명제품 성능평가기술 지원
- 애로기술 지원 등 기업별 맞춤형 지원
- 기업 연계형 전문 인력육성을 위한 교육 지원 및 최신기술 세미나
-
인증 서비스
- KS 인증(LED조명 등 26개 품목에 대한 KS인증 서비스 제공)
- TL 마크 (Trust Lighting Mark : Color & Lighting Quality를 보증하는 고품질 조명 인증 마크) 인증
-
Color & Lighting Quality
Total Solution 제공- (O)LED PKG 및 조명 개발품에 대한 Color & Lighting Quality 분석
- 사용자 인지 및 감성 특성 분석, 제품개발단계에서 필요한 서비스 실증 테스트
-
통신 및 센서 기술 융복합
스마트 조명제품 개발 지원- 제품 기획, 필요, 기술, 응용 분야, 개발 로드맵 컨설팅
- 국책사업과제 제안 및 기술 개발 지원
-
빛공해 노출 및 위해성 평가 지원
- 자연채광과 인공조명의 친환경 평가기술 지원
- 특수 응용조명 분야 개발 및 평가 지원
-
신재생에너지기술 지원
- 제로에너지 빌딩을 위한 PV-LED 시스템 설계 및 상용화 기술 개발 지원
- 신재생에너지(태양과, 풍력) 융합형 조명 시스템 설계 및 기술 지원
- 도심형 BIPV(건물일체형 태양광발전시스템) 실증평가 기술지원
지원기관 :지능로보틱스연구센터(한국전자기술연구원, 부천산업진흥원)
로봇산업이란?
- 지능형로봇이나 로봇부품을 제조·판매·개발하는 산업으로 최근 자율주행자동차, 드론, 인공지능 등 4차 산업의 근간이 되는 주력산업
사업분야

01
전자 & IT 분야의 첨단소재 부품 연구 개발
02
전자 & IT 분야의 정보통신 미디어 연구개발
03
전자 & IT 분야의 융합시스템 연구 개발
04
창업보육, 기술이전을 통한 창업 지원
05
공동 R&D 기술컨설팅 연구장비공동 활용을 통한 기업 R&D 지원
06
기술이전 및 사업화, 신뢰성 시험분석을 통한 기업의 사업화 지원
07
글로벌 협력, 재직자 교육, R&D 인력 매칭을 통한 기업 성장지원
주요업무
1. 공동 기술개발
정부 R&D 사업에 기업과 공동으로 참여하거나, 기업수탁 과제 등을 통해 기업들이 필요로 하는 기술을 개발
- 주요부처 : 미래창조과학부 / 산업통상자원부 / 중소기업청 등
연구본부별 주요 기술분야
-
첨단소재부품 분야
- IC디바이스 · 패키징, 디스플레이소재부품 융복합전자 소재, 차세대전지, 스마트센서, 나노소재부품, 신뢰성 기술 등
-
정보통신미디어 분야
- 스마트미디어, VR/AR, 스마트네트워크, 콘텐츠응용, 모빌리티플랫폼, 지능형영상처리 기술 등
-
융합시스템 분야
- IoT플랫폼, 임베디드 · SW, SoC플랫폼, 에너지IT융합, 휴먼케어시스템, 지능메카트로닉스 지능로보틱스 기술 등
2. 기술이전 및 사업화 지원
KETI가 연구개발을 통해 보유하고 있는 다양한 핵심·요소기술을 기업에 이전하고, 이전기술의 사업화를 지원
- KETI 홈페이지(www.keti.re.kr) 우측의 '기술이전' 페이지에서 온라인 검색 가능
- 테마별(IoT, 스마트카, 드론, 로봇, 등), 산업별(전자전기, 자동차, 소재부품 등)로 기술이전이 가능한 사업화 대상기술의 검색 및 조회 가능
3. 애로기술 자문
KETI의 석·박사급 연구인력을 통한 전문컨설팅, 전문가 매칭 등을 통해 기업의 애로기술 해결을 지원
- KETI 홈페이지(www.keti.re.kr)의 '애로기술자문 의뢰'를 통해 온라인 의뢰 가능 (www.keti.re.kr → 기업협력플랫폼 → '애로기술자문 의뢰' 탭을 클릭)
-
애로기술 자문의뢰
-
기능여부 확인
-
연구자 매칭
-
컨설팅 실시
4. 연구장비 지원
중소기업이 보유하기 어려운 고가의 연구시설 · 장비의 공동활용 지원체계를 마련하여, 시험 · 분석 등의 서비스를 제공
- 보유장비 : 광학 기초장비, 화합물 분석장비, 엔지니어링 가공/시험 장비, 전기/전자 측정장비, 물리적 특성 분석장비등 총 2,232종의 장비 보유
- 세부 보유장비 정보는 KETI 홈페이지 참조 기업협력플랫품 → 연구장비지원 → 보유장비검색 및 이용신청
부천메카트로닉스연구단정밀모터, 메카트로닉스, 로봇 관련한 200여종의 장비 보유 및 평가지원
- 부천기업은 장비이용료의 30% 할인 적용
- 시험문의 : 장비운영팀 (032-621-2872, changi4@keti.re.kr)
5. 재직자 교육
KETI는 '국가인적자원개발 컨소시엄' 운영기관으로서, IT융합시스템분야 기업 재직자들의 역량향상을 위한 직무교육을 진행
- 교육대상 : 고용보헝료를 납부하고 있는 재직근로자
- 참가비 : 무료 (교재 및 중식 제공), 단 , 컨소시엄 협력기업으로 등록 되지 않은 재직자는 간단한 협약절차를 거쳐 수강 가능
- 수료조건 : 교육시간 기준 80% 이상 수강 시 수료증 발급 가능
- 참가신청 및 상세내용 : 홈페이지 http://ittc.keti.re.kr 참조
- 문의 : KETI 기업성장지원실 (Tel. 031-789-7647, nova@keti.re.kr)
- 교육과정 : 모터구동 인버터 설계 및 제어기술 영구자석형 모터 설계 기술 등 총28개 과정
6. 로봇융합부품지원센터 운영
국내 로봇산업 경쟁력 확보를 위하여 로봇부품 산업의 기반조성, 장비구축 등 중소 로봇부품 기업의 역량 강화를 위한 원스톱 지원체계 구축 운영
- 참여기관 : 부천산업진흥원
- 센터위치 : 부천시 평천로 655 부천테크노파크 401동 1402-1호
주요 활동내용
- 중소 로봇부품 기업의 전주기적인 지원을 위한 지원센터 공간의 운영
- 로봇부품의 성능/신뢰성 확보를 위한 평가장비 구축
- 로봇부품의 상용화를 위한 활용 로봇부품 평가, 인증 및 지원
- 중소 로봇부품기업을 위한 장비 및 성능평가 체계를 활용한 제품화 지원
- 로봇 부품기업 및 시스템 기업간 네트워크 구축 및 사업화 지원
지원기관 :패키징기술센터(한국생산기술연구원)
패키징산업이란?
- 제품을 포장하는 제조업의 숨은 조력산업으로 글로벌 시장 환경에서 차별화된 경쟁력으로 소비자를 사로잡기 위한 단순포장이 아닌 미래 스마트감성 융합 산업
사업분야

01
국내 패키징 선도 R&D 기술개발, 기술이전 및 기술지도
02
중소기업 기술지원을 위한 시제품 제작 지원 및 제품 분석평가
03
패키징 산업 발전을 위한 정책개발 및 기술기획
04
패키징 분야/수준별 교육과정 개발 및 전문인력 양성 교육
05
패키징 신기술 정보포상 및 국내외 전시관 운영
06
국내 패키징 통계 및 기업지원 정보 DB 구축
07
패키징 기술교류 세미나 및 심포지움, 간담회 운영
08
중소기업 기술보급을 위한 홍보활동
09
국제 패키징 기구활동을 통한 국제협력
주요업무
1. 차세대 융합 패키징 R&D 추진
- 세계 시장에서 경쟁력 있는 기술개발을 위한 핵심기술 연구
- 차세대 패키징 기술개발 및 패키징 소재연구
- Packaging Engineering, Sustainable Packaging, Active Intelligent Packaging

2. 중소기업 기술지원
-
패키징 특화 One-Stop(토털솔루션) 서비스
- 기업의 기술성, 전문성 분석을 통한 기업 현황 구축
-
패키징 설계/해석 및
엔지니어링 디자인 시제품 제작 지원- 최신 엔지니어링 디자인 툴을 이용한 고객니즈가 반영된 패키징 엔지니어링 디자인 기술 지원
- 수요 품목별 완충설계 스케치 및 모델링 지원
- 최적화 및 경량화 패키징 용기 및 트레이 설계 지원
- 2D 3D 맞춤형 완충구조 설계를 통한 최적화 패키징 제작
- 공학해석을 통한 패키징 안정화 실현
-
패키징 필름 시제품 제작 지원
- 세계시장에서 경쟁력 있는 패키징 필름 소재 개발을 위한 필름 시제품제작 지원
- 다층 구조의 연포장재 시제품 제조지원
- 다이캐스팅 방식 및 블로운 방식 필름제조 기술 지원
- M/B 함량 및 최종 Recipe 설정지원
- 두께편차 최소화, 생산성 극대화 등을 감안한 최적 가공공정 설정지원
-
패키징 시험 분석 평가 지원
- 최첨단 패키징 시험분석 장비를 통한 정확한 제품 분석/평가 지원
- 환경성, 기능성 등에 대한 평가 기술 지원
- 중소기업 제품평가 애로기술 해소 지원
- 제품 생산에서 분석까지 신속 정확한 feed-back 지원 애로사항 접수를 통한 현장밀착형 기술지도
-
패키징 설계/해석 및
엔지니어링 디자인 시제품 제작 지원- ASTM 국제규격 표준장비인 미국 MOCON사로부터 "국내최초 공식 인증 랩" 지정
3. 패키징 전문인력양성 교육
- 패키징 현장기술인력의 직무능력 개발을 위한 패키징 전문교육 및 분석기기 실습교육
-
교육신청
이메일접수
(선착순 모집) -
현장기술
인력양성 교육
교육내용
패키징 전문교육
- 공통기술 교육과정
- 패키징 재료 전문 교육과정
- 패키징 공간비율 설계 실습교육 등
패키징 기기분석교육
- 패키징 투과도 분석 이론 및 실습교육
- 패키징 열분석 이론 및 실습교육
- 패키징 기계적 물성분석 및 실습교육
- 패키징 성분분석 및 실습교육
패키징 기술 세미나
4. 미래패키징 신기술 정부포상(Korea Star Awards) 및 전시관 운영
패키징 산업 종사자의 긍지와 자긍심 함양, 최신 기술 공유를 통한 기술 혁신 분위기 확산 및 기술개발 의욕 고취를 위한 패키징 산업의 우수 기술 및 산업발전 기여자에 대한 정부포상 실시(2007년부터 시행)
- 해외 패키징 포상제도 출품자격 부여
- 국내외 패키징관련 전시회 수상작 홍보관 운영
- 주최 : 산업통상자원부
- 주관 : 한국생산기술연구원, 매년실시

5. 국제 교류활동을 통한 글로벌 시장 진출기반 마련
세계포장기구 (World Packaging Organization, WPO) 활동
- 세계포장기구인 WPO는 전 세계 포장산업의 진흥과 패키징 관련 공익을 위하여 각국의 의견을 수렴할수 있는 기구로서, 전 세계 43개국(Full Member : 38국, Affiliate Member: 5국)의 회원국으로 활동하고 있음
아시아포장연맹(Asian Packaging Federation, APF) 활동
- 아시아포장연맹(APF)는 아시아 유일의 패키징 정책 및 기술교류 등 패키징 관련 아시아 공익을 위하여 설립된 민간단체로 한국, 일본, 중국 등의 14개국을 회원으로 보유하고 있음
6. 국내 패키징 산업 실태조사
- 패키징 산업 현황 조사를 통하여 국내 패키징 산업의 규모와 현황을 분석 및 추정하고 향후 패키징 정책 수립 및 발전방안 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
- 주기적 현황조사를 통해 시계열 데이터를 확보하여 향후 패키징 산업 발전을 정확히 예측하고 대응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
7. 패키징 기술교류 및 네트워크 구축
- 패키징 산 · 학 · 연 네트워크 구성 기반 마련
- 효율적인 기술 · 정보교류 및 협력의 장 마련
- 기술교류 및 기업애로사항 분석을 통한 패키징 분야별 특화 육성정책 개발 및 건의
지원기관 :세라믹기술센터(한국세라믹기술원)
세라믹산업이란?
- 세라믹은 특수한 기능을 최대한 발현시킨 소재로 섬유, 기계, 자동차, 조선, 전기, 전자, 스마트 자동차, 차세대반도체 디스플레이, 2차전지, 로봇, 항공우주, 첨단바이오 등 국가기간산업의 근간이 되는 핵심소재 개발산업
사업분야

연구개발
핵심원천기술 / 미래선도 R&D
실용화 / 현장애로기술 R&D
시험분석
세라믹 시험분석 공인기관
한국제품 인증기관
표준개발협력기관 운영 및 국가표준화 사업수행
기술지원
인프라 기반 지원
세라믹 전문인력 양성
정책지원
세라믹산업 육성정책 수립
세라믹산업통계 구축
세라믹 포럼 운영
주요업무
1. 한국세라믹기술원 시험 및 지정 분야
정밀화학 분야
- 요업, 세라믹 제품 성분 분석
- 제품 개발 및 미지화학물질에 대한 성분분석
- 유기물질 분석
환경 분야
- 국제환경규제물질 (RoHS, REACH SVHC, PoHS, ELV, WEEK)분석
- PCBs 분석, 환경유해물질, 브롬계 난연제, 프탈레이트 등 분석
- 석면분석
- 제품의 유해물질 분석
고체 물성
- 압축강도, 인장강도, 열전도도, 밀도
원적외선 측정
- KOLAS/KAS 공인시험기관: 128호, 산업통상자원부 기술표준원
- 표준개발협력기관(COSD): 요업분야, 산업통상자원부 기술표준원
- 석면분석지정기관: 2012-120002호, 고용노동부 지정
- EcoLab지정: 삼성전자, 엘지전자, KEA 지정
소재평가 분야
- 철 및 비철금속, 귀금속, 광물분석
- 무기약품, 유기재질 분석
- 시멘트, 유리, 도자기 분야 분석
- 강도, 비중, 입도분석 및 원적외선 등 물성 평가
미세구조 분야
- FIB, XPS, HR-TEM, EPMA, FE-SEM, AFM, XRD, 표면분석
전자기적 분야
- 전기적 특성 분석
- 유전율, 체적저항, 내전압, 온도저항
광학물성
원적외선 측정 신뢰성 분야 (고장시험, 성능시험)
2. 창업맞춤형사업화 및 창업도약 패키지 지원
- 사업화 가능성이 높은 3년 미만 또는 3년~7년 미만 창업 기업의 매출 증대를 목표로 자금지원, 시장전문가 멘토링, 아이템 보강을 지원
- 투자 연계, 해외 수출을 통한 매출 증대와 글로벌 진출 도모
3. 국가인적자원개발컨소시엄 사업
- 세라믹 현장인력 고기능화와 미래인재육성을 위해 재직자와 취업 예정자를 대상으로 개개인에 적합한 세라믹 현장 맞춤형 장비교육 서비스 제공
- 전문성있는 이론강의와 실습을 병행, 전문성 있는 이론 강의와 실습 진행 및 최신 장비 활용, 전액 국비무료
- 총 50여종의 첨단 신규 장비를 구축하여 교육생들이 실습에 직접 활용
4. 테스트베드(세라믹소재종합센터)
- 세라믹 공정의 각 단계별 공정 및 평가 장비 라인 구성 및 맞춤형 최적화 공정구축 설계, 공정, 소재의 각 단계별 다양한 Test를 통한 제품 적용 문제점 파악 및 feedback을 통한 맞춤형 사업화 소재 제공
5. 기술이전
- 한국세라믹기술원 원천 기술부터 산업응용가능 기술까지 각종 연구개발성과를 기업체에 이전하여 개발기술의 실용화를 지원
- 유관기관과의 협업프로그램을 통한 수요자맞춤형 기술이전 및 기술사업화 지원
- 기술 공급과 수요자의 원활한 연계를 위한 기술사업화 설명회 등 개최
- 총 50여종의 첨단 신규 장비를 구축하여 교육생들이 실습에 직접 활용
6. 세라믹섬유실용화센터
- 세라믹섬유 양산 및 제품화 공정 기반조성
- 기업지원 혁신시스템을 통한 세라믹섬유 전문기업 육성
7. 기술지원
-
부천시 지역 유망 사업체
지원 프로그램 운영- 부천시와 공동으로 지역 사업자 매출 증대 및 신규인력 채용 지원 방안 마련
- 공정개선,제품개선,제품디자인,신뢰성,시험분석비용 직접지원
- 기업체 애로사항 해결을 위한 1:1 전문 인력 배치
- 문의 : 032-210-5107/5104
-
부천지역 소재기업 시험분석
수수료지원 사업- 지원대상 : 사업장(본사 또는 공장)을 부천지역에 두고 있는 기업(한국세라믹기술원 부천사업소에 시험분석을 1의뢰한건에 한함)
- 지원내용 : 시험항목별 수수료 합계의 50%를 지원함 (기본료,우송료,부가세,지급수수료 등 시험수수료의 간접 경비는 지원항목에서 제외함)
- 지급한도 : 연간 업체별 지원한도 300만원
- 지급방식 : 신청기업에서 시험분석기관에 시험분석을 의뢰하고, 그 대금을 지급하면 재단에서 사후 지급하는 방식임 ▶지역 시험분석 수요업체 무료 배송시스템 구축
- Tel : 032-210-5110/5114, Fax : 032-210-5115
-
한국세라믹기술원 회원사 제도 운영
- 시험수수료 30% 할인 (가입비용 40만원/년)
- 무료기술정보 제공,스타컴퍼니 발굴지원
- 연구개발지원 및 무료 현장방문 기술지도(출장경비는 회원사 부담)
- 가입절차 : 회원가입문의 → 상담 → 회원가입신청서 → 가입비납부 → 회원증 발급
- Tel : 032-210-5110/5114, Fax : 032-210-5115
-
연구장비공동활용지원사업
- 한국세라믹기술원이 보유한첨단, 고가 연구장비와 소프트웨어를 중소기업 연구개발(R&D)에 지원하여 국가장비 활용도 제고 및 중소기업 기술경쟁력 향상 기반마련, 중소기업 연구개발에 필요한 결과 도출을 위해 한국세라믹기술원이 보유한 시험,연구장비 및 소프트웨어 활용지원
- 지원규모 : R&D장비 이용료에 대해 60 ~ 70% 범위 내 30천만원까지 온라인 바우처(쿠폰) 방식 지원
구분, 개발기관, 정부출연금 비중, 비고로 구성된 기업별 지원규모 표 구분 개발기관 정부출연금 비중 비고 창업기업 1년 70% 이내,
최대 30백만원업력 7년 이하 일반기업 1년 60% 이내,
최대 30백만원업력 7년 초과 - 신청기업의 참여자격 : 중소기업
- 주관기관 : 한국세라믹기술원, 담당자 : 032-210-5105
- 관리기관 : 한국산학연협회 (042-720-3344~5)
-
부천지역 소재기업 네트워크 구축 및
컨설팅 지원 사업- 부천시 세라믹기업 지원 전용 홈페이지 구축 및 운영
(기업, 전문가 등록, 사업공고, 기술자문 Q&A, 업체 홍보 등) - 기업 및 전문가 네트워크
(brian pool,정부사업 연계,정기교류회 등) - 맞춤형 기업지원
(기술걸림돌 제거 지원 사업,컨설팅 지원 등) - 부천소재 기업의 정부사업,중.대형 컨소시엄 사업 공동 참여 확대
(중소기업청, 산업통상자원부, 미래부, 에너지사업, 환경부 등 정부사업) - 문의 : 032-210-5107/5104
- 부천시 세라믹기업 지원 전용 홈페이지 구축 및 운영